시작하며
데이터 분석 중에서도 특히 온라인 AB 테스팅 실험을 하고 싶은데, 마땅한 데이터와 플랫폼이 없다. 그래서 내가 직접 프로덕트를 개발해서 실험도 해보고 (가능하다면 추천 시스템도 만들고) 해보고자 한다. 우버 엔지니어셨던 테크보이 워니님의 유튜브 영상 중에서 나의 제품 만드는 테크 트리를 유심히 봤는데, 마침 코딩 애플님의 당근마켓 클로닝 강의와 웹개발 프리패스권의 많은 부분들이 커버가 되서 결재했다. HTML, CSS, JavaScript 를 배우고 파이어베이스 관련 영상을 시청하면 내가 원하는 MVP 를 만들 수 있다. 나는 학습 관련 온라인 프로덕트를 만들고 싶었는데, 파이어베이스로 제작하기가 용의하였다.
학습하면서 추가적으로 알게된 사실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머신 러닝 관련 제품도 되어 있다는 점이다. 추천 시스템을 제작할 수 있는지 확인해봐야겠다. 코세라 코스에서 이와 관련된 엔지니어링 강의도 있던데 도움이 될 것 같다.
본문
본문에서는 내가 왜 어떠한 근거로 이러한 과정을 하고자 하는가에 대하여 간략히 작성해보고자 한다.
AB 테스팅/실험을 연습하고 싶은데, 개발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으면 실험을 할 환경이 생기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센티브 실험을 한다고 했을 때 실험 대상을 구하는 것부터 쉽지가 않다. 연구 목적으로 진행을 한다면, IRB 프로세스부터 시작해서 펀딩까지 시간이 아주 오래 걸린다. 그리고, 사전에 문헌 연구부터 해서 연구의 기여까지 확실히 해야한다.
내가 생각한 방식은 연구 목적용은 아니고 취업용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람을 모아야 하고, 결국 개발을 먼저 해야한다. 지인 중에 개발자가 있다면 프로젝트를 함께 제안할 수도 있겠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웹앱을 만드는데 필요한 툴들을 배우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러던 중 즐겨보던 우버 출신의 개발자 분, 테크보이 워니님, 의 최근 영상을 보면서 사업이나 자신의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필요한 스킬셋을 찾는 테크트리를 알게 되었다. 프론트엔드는 HTML/CSS + JavaScript 를 배우고 Node.js 를 배워서 배포를 한 후에 SQL 과 같은 데이터 베이스 다루는 방법을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다.
- 테크보이 워니: 개발자 되는법 - 코딩 처음부터 배울때 뭐부터 해야해요?
우선, 첫 스텝으로 프론트엔드를 연습하려고 한다. 파이어베이스의 장점은 벡엔드 지식 없이 프론트엔드를 연습해볼 수 있다는 점이다. 간단한 프로젝트로 프론트엔드 연습을 한 후에, Node.js 를 이용해서 벡엔드 스킬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프론트엔드 연습 시 파이어베이스를 사용하겠으나, 파이어베이스의 AB 테스팅이 베이지언 AB 테스팅을 기반으로 해서, 벡엔드 스킬 연습 시에는 AWS 를 사용해야 할 것 같다. 최소한의 비용으로 내가 필요한 스킬셋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방법을 찾아야겠다. 앞으로도 관련해서 AWS Free Tier 관련해서 글을 적어봐야겠다.
- 코딩 애플 유튜브로 일단 맛보기 해볼 수 있다. 나는 당근마켓 따리치다가 오 된다 싶어서 결재했다 ㅋㅋㅋ
- 당근마켓 클로닝하면서 배우는 파이어베이스
- 프리패스: 현재 HTML/CSS + JavaScript + Node.js 까지 하면 웬만큼 할 수 있음.
내가 이 프로젝트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스킬 중 중요한 스킬은 MySQL, Apache Spark, Machine Learning (추천 알고리즘), Experimentation (or AB Testing) 이다.
- 그리고 언젠가 내 사업을 하게될 때 도움이 되지 않을까. (보통 사이드 프로젝트부터 시작하다가 나도 모르게 사업하고 있었다는 후기를 유튜브에서 종종 보았다 ㅋㅋㅋ)
경제학 박사 또는 관련 박사를 하면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경험이 있는 사람들
- Pasha Stetsenko (이 분은 아예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Zack Goodman (박사 중에 앱개발 하신듯)
마무리하며,
결론 한 줄 요약: 분석 관련 스킬을 적용해보기 위해서 실험 플랫폼이 필요하고, 그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서 개발 지식이 필요하서 공부를 할 예정인데 관련 글들을 여기다 적을 예정이다.
- 말하면 이루어진다?
연구를 하더라도 사업을 하면서 하는 연구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걸 하는데 필요한 스킬들을 하나씩 모아가는 것 같다. 사실, 이렇게 할 수 있는 게 가능해지는게 신기하기도 하다.
- 스킬셋: 경제학 + 머신러닝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 데이터 엔지니어링도 해야할듯...)
AEA (온라인) 미팅에서 연구+사업 소개하는 교수님 보고 엄청 반가웠다 ㅋㅋㅋㅋㅋㅋ 2024 by You? 이런 거 적어놨던 걸로 기억하는데 엄청 고맙기도 하고 저기 나야나 막 이랬던 기억이...
- [ ] 나중에 찾게되면 그 분 논문 링크라도 적어두어야겠다. 올해 말고 작년 1월 AEA 미팅이었던 것 같다.
나는 새로운 길(?!)을 이미 존재하는 스킬셋들을 조합해서 해보는 것을 좋아하는데, 하다보면 뭐든 되겠지!!!
추가: 해빗 트래커 MVP 제작 후 느낀점
- 06월 18일 변화된 생각: 취업용 프로젝트를 만드는 일로도 그리 단기간에 적합하지는 않은 것 같다. 2년 정도는 시간을 두고, 1년 동안은 배우고 나머지 1년 동안 프로젝트를 돌려야 취업용이든 다른 어떠한 용도이든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만들려면 만들 수는 있는데, 확신을 들기도 쉽지 않고, 시간이 바쁠 때 웹앱/모바일 앱을 관리하기가 그리 녹록지 않을 것 같다는 걱정이 든다.
'최소 기능 제품 (MV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론트엔드 연습 프로젝트] 가입&로그인 기능 (0) | 2022.05.11 |
---|---|
[프론트엔드 연습 프로젝트] 파이어베이스에 데이터 저장하기 (0) | 2022.05.09 |
[프론트엔드 연습 프로젝트] 파이어베이스의 데이터 읽기 (0) | 2022.05.07 |
[프론트엔드 연습 프로젝트] 파이어베이스 시작하기 (0) | 2022.05.06 |
[프론트엔드 연습 프로젝트] 해빗 트래커 (Habit Tracker) 제작기 (0) | 2022.05.05 |